왜 비만 대사 수술이 필요한가?(+논문)
최근에 한참 이슈가 되었던 메타인지라는 단어가 많이 독자들의 인식에 그 중요성을 자리잡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의학에서도 임상연구를 통해서 약물이나 수술 및 기구들의 의학적 근거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과학적으로
증거의 강력한 연구를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 무작위임상연구라고 하여 연구대상자를 두군으로
분류하여 특정 약물이나 수술의 과학적 유용성을 입증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근거창출연구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외에 두번째로 중요한임상연구는 메타분석이라고 합니다.
이는 많은 임상연구들의 자료 중 그 신뢰도가 높은 임상연구를 종합하여 근거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메타분석이란 내가 모르고 있던 지식을 깨닫게 해줌으로써 대상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논문은 Bariatric surgery and its impact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비만대사수술의 심혈관질환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입니다.
본 연구에서 수많은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본 비만대사수술의 효과는 암보다 더 사망률이 높은 심혈관질환, 특히 심근경색 및 뇌혈관질환에 대해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약물치료를 한 환자에 대해 사망률과 발생률이 과학적으로 낮고 생존률이 높다는 근거를 분석보도한 논문입니다.
비만수술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많은 문헌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습니다. 대조군과 함께 비교해 봤을 때 대사수술이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고,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 위험인자 또한 낮춘다는 연구결과는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비만수술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체계적인 검토는 아직 없었기에, 이 연구를 통해 대사수술과 심혈관 질환+ 사망률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관찰 연구들은 대사수술을 시행한 과체중 환자들이 비적출술 대조군에 비해 심근 경색, 뇌졸중, 심혈관 질환 및 사망률이 낮다는 일관된 증거를 제공합니다. (사망률 3.6% 대 11.4%, 심혈관 질환 2.4% 대 4.0%, 심근 경색 1.3% 대 2.5%, 뇌졸중 0.8% 대 1.5%). 이 분석은 비만대사수술이 미래의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는 과체중 환자들에게 특히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아직도 많은 고도비만과 관련 동반질환을 알고 있는 환자들에게 꼭 전문가에 의한 전문치료를 받길 원하는 마음에서 다시 한번 비만대사수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어 이글을 써봅니다.
비만이 고민된다면? 외과 하태경 교수... : 네이버 카페
외과전문의 하태경 교수가 운영하는 건강 및 (비만,탈장,위암)수술 정보 공유 카페입니다.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