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암

(9)
1기 위암일 경우 위암에 걸리면 수술로 치료해야 합니다. 하지만 위암을 조기(1기)에 발견하면 70% 정도는 복강경으로 수술할 수 있습니다.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 가운데 심뇌혈관 질환을 앓았거나 위험성이 높을 때 위절제수술을 받으면 위암도 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사망 원인 2,3위에 오른 심ㆍ뇌혈관 질환도 줄일 수 있습니다. 위암 수술은 어떻게? 위암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내시경과 복강경 치료, 수술, 항암화학요법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기 위암이거나 위절제수술을 하기에 위험하다면 소화기내과에서 내시경으로 치료합니다. 하지만 수술을 해야 한다면 외과와 긴밀히 협진해 환자 맞춤형 수술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술은 통증과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70% 이상의..
[비온뒤]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니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 1위는 위암입니다. 최근 국가암검진의 활성화와 암 질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암 조기 진단율이 80%를 넘어설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1995년 43.9%에 불과했던 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최근 78%까지 증가했는데요.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닙니다.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하태경 교수, 참든든내과 황덕원 원장과 함께 알아보시죠. [비온뒤]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니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 1위는 위암입니다. 최근 국가암검진의 활성화와 암 질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암 조기 진단율이 80%를 넘어설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위폴립 조직학적으로는 위바닥샘의 폴립, 과형성 폴립, 샘종이 있다. 자각증상은 거의 없으므로 대부분은 건강진단이나 소화기계의 증상 때문에 내시경검사를 했을 때 발견된다. 드물게, 폴립에서 출혈이 생겨 빈혈이 되는 경우가 있다. 1) 위바닥샘폴립 위 상부의 위바닥샘 영역에서 발생하는, 직경 3~5mm의 소형 폴립(polyp)이다. 성인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발 경향이 있다. 2) 과형성 폴립 H. pylori나 점막위축과 관련이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커지면 출혈이나 악성화가 될 위험이 있으므로 1cm가 넘으면 내시경으로 절제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H. pylori 양성 증례에서는 제균을 하면 폴립이 축소되거나 소실되는 경우도 있다. 3) 위샘종 약간 희끄무레하고 편평한 작은..
위암의 가족전염력 위의 논문은 위암환자의 헬리코박터균 치료여부에 따른 자식세대에서 위암의 발병력을 연구한 국내연구자에 의해 발표된 논문입니다 의학학술지에서 가장 권위있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에 실린 내용입니다.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암 환자 1급 친척 3100명을 선별해 무작위로 헬리코박터 감염균을 보유한 1838명의 참가자에게 박멸요법(lansoprazole 30mg, 아목시실린 1000mg, 클라리스로마이신 500mg 을 각각 2회 7일동안 매일복용) 또는 플라시보약을 복용하게 하여 H.pylori 제균상태에 따라 위약과 비교하여 위암 발병 상태를 추적기간동안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결과를 대략적으로 말씀드리면 H.pylori 균을 제균 한 실험군이 위약을 먹은 대조군에 비해 위암 위험이 73%나 더 낮다는..
나도 혹시 위암 초기증상? 안녕하세요. 현대인들이 많이 겪는 스트레스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암 발병률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맵고 짠 음식을 즐기시는 분이라면 위암을 더더욱 경계하셔야 겠습니다. 과거에는 고령의 나이에만 발생하던 암이지만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게 요즘의 현실입니다. 위암은 병기에 따라 여러 증상과 양상을 띄지만, 당연히 병기가 더 높아질 수록 완치될 확률이 줄어들기에, 위암 초기부터 싹을 잘라내고자 더더욱 요즘 분들이 위암 '초기'증상에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럼 간단하게 위암이 뭔지, 초기증상은 어떤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위암이란? 위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입니다.대부분은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을 말합니다. 위선암 외에도 위 림프종..
위암과 위장 관련 질병의 연관성 위암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가장 많은 암종 이며, 세계에서 2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최근에는 일본보다 한국에서 발병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서양에서는 과거 수십 년 동안에 발생빈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최근에 위암의 조기발견·조기치료의 정립과 X선 위 이중조영술(상부 위장관 조영술) 및 연성 위내시경의 개발로 대중검진과 조기진단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많은 환자의 조기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초기 위암에 한하여서는 위암 치유율이 90% 이상을 나타냅니다. 위암의 위험인자로는 위암 가족력, 헬리코박터균 감염, 흡연, 짠음식, 가공된 단백질, 상한 음식 등입니다. 위염이나 위궤양의 증상이 나타나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위암발병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40세 이후에는 2년마다 ..
국가암정보센터에서 제공한 '위암'에 대한 정보 ​위암은 식생활, 위암 관련 질병, 그리고 가족력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데, 가족력과 관련해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위암의 위험인자 ] 위암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에 염증을 일으켜 위축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증의 다단계 전암병변으로 진행하면서 유전자의 변이를 가져옵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암 발생의 위험도를 2.8~6.0배 증가시킵니다. 관련질병 만성 위축성 위염 : 위의 정상적인 샘구조가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이 질환이 있으면 위암의 발생 위험도가 6배 증가합니다. 위축성 위염이 위암으로 진행하는 빈도는 연간 0~1.8% 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상피화생 :..
위암에 대하여 * 저의 블로그에 쓴 글의 내용은 원문의 일부로. 더 자세한 내용은 카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내벽에 발생하는 암종(癌腫). 위의 악성종양(惡性腫瘍) 중에서 약 98%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X선진단과 내시경진단(內視鏡診斷)의 수준향상 및 건강진단의 보급으로 조기발견이 가능해져 해마다 조기암(早期癌)의 발견율이 증가함에 따라 위암 사망률은 낮아지고 있다. 원인으로 자극설·태생설·미아설(迷芽說)·세균설·바이러스설 등 많은 학설이 나왔으나 아직 확정된 학설은 없다. 이들 학설 중 화학적 발암물질에 의한 위암의 발생이 동물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특히 니트로소구아니딘을 사용하여 위암 발생실험을 한 결과 발암률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람의 위암에 대해서는 아질산염도 발암인자로 추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