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위암환자 생존율 높이기"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남자 2만1344명, 여자 1만293명 등 3만1637명이 위암 진단을 받았다. 이는 같은 해 새로이 암 진단을 받은 모든 환자(21만8017명) 중 14.5%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각종 암 환자 10명 중 약 1.5명이 위암 환자라는 의미다.
위암 발생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선 맵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삼겹살 같은 고지방 육류를 불에 익혀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많다.
우리나라 사람은 탕, 국, 젓갈 등 맵고 짠 음식을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져 있다. 성인의 절반 이상이 위염과 위궤양을 한번 이상 경험했을 정도로 위장병에 취약하다.
물론 위암이 위장병 때문에만 발병하지 않는다. 위장병을 부르는 맵고 짠 음식에 길들여진, 잘못된 식습관 외에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흡연,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위암 발병에 작용한다.
위암은 간암 못잖은 ‘침묵의 암’으로 불린다. 2명 중 1명 이상이 첫 진단 시 “소화불량 외엔 평소 특별히 이상한 증상을 느끼지 못했다”며 “알다가도 모를 일”이라고 고개를 내젓기 때문이다.
한양대학교병원 외과 위암클리닉 권성준(61) 교수팀이 실제로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를 조사한 자료를 보자.
환자 조사 자료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로 들어오셔서 확인해주세요.
https://cafe.naver.com/gshatk/10
명의&인의를 찾아서-한양대학교병원 위암클리닉 권성준 교수팀 : 진행성 위암환자 생존율 높이
2015-07-07 작성글 복강경·로봇 이용 최소절개술로 생존 기간·삶의 질 향상에도 힘써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국립암센터 ...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