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외과 전문의 하태경
검색하기

블로그 홈

외과 전문의 하태경

gshatk.tistory.com/m

한양대학교병원 외과 하태경 교수의 건강정보 공유 블로그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비만 대사 수술, 위암(절제)수술, ⋯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건강한 가족] 단순 비만과 다른 고도비만, 수술이 표준치료법 인간은 언제부터 많이 먹었을까. 오래전부터 인간은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 생존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진화해 왔다. 식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포식하다가도 부족한 시기가 오면 간헐적으로 결핍에 시달렸다. 인간의 몸과 유전자는 이따금 포식하고 그 밖의 시간에는 허기를 견뎌야 하는 환경에 맞춰 진화했다. 오늘날의 식생활은 인류가 처음 나타났던 태곳적 환경과 매우 다를 것이다. 게다가 과거와 달리 현대인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있다. 비만은 과도한 음식 섭취 등으로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다. 질병관리청의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37%가 비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성인 10명 중 약 4명은 비만인 셈이다. 1998년..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6. 5.
  • 한양대의대팀, 카자흐스탄 초고도 비만환자 살려 2016.04.25 10:26 작성글 [베리타스알파=김하연 기자] 초고도비만으로 급사 직전까지 내몰렸던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의 모녀 환자를 한양대병원 의료진이 수술을 통해 회복시켜 화제다. 카자흐스탄의 사파르쿨 살리모바(51)씨와 딸인 카시예트 살리모바(23)씨가 지난달 28일 서울 한양대 의료원을 찾았다. 사파르쿨과 카시예트 모녀 환자의 체질량지수(BMI)는 각각 70과 50.2로, 초고도비만 환자였다. 이들 모녀는 비만 외에 고혈압·당뇨병·심장질환을 앓고 있어 자국 내에서 급사 위험 진단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BMI는 25~30 사이는 비만, 30 이상은 고도비만, 35 이상은 초고도비만으로 분류한다. 하태경 한양의대 외과 교수(맞춤형비만치료센터)..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4.
  • 2017년 7월 보도자료. "고도비만, 운동과 약으론 안돼...수술이 정답" "지난해 미국당뇨병학회는 체질량 지수가 35 이상이며 당뇨병이 있다면 대사수술을 해야 하다고 했다. 체질량 지수 40 이상인 당뇨병 환자는 무조건 수술하라는 지침도 냈다." 고도비만은 질병이다. 흔히 비만을 의지의 문제라고 치부하며 덜 먹고 운동하면 얼마든 살을 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체질량 지수 30을 넘어가는 고도비만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 하태경 교수(한양대병원 외과)는 4일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고도비만의 유일한 치료법은 수술"​이라고 했다. ​ 그는 "아직도 고도비만 환자를 비만처럼 취급해 살을 빼라고 한다. 건기식 등으로 유혹하는데 이는 요요만 불러올 뿐"이라고 단언했다. ​ 하 교수는 "체질량 지수가 35 이상이면 심혈관질환과 당뇨 등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위험률이 훅 오른다. 40..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3.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3 저번 글들에 이어 또 이어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1 찾아라 특종 건강 백서 3회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3회 소장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 어떤 환자들이 '비만 대사 수술'의 대상자인가? 외과의사에게 찾아온다고 했을때 치료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gshatk.tistory.com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2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올린 글에 이어 방송에서 했던 인터뷰 포스팅을 이어나가볼까 합니다. 비만 수술에 대한 인터뷰내용에 관한 포스팅, 지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박스를 클릭해주 gshatk.tistory.com 6. 비만 환자들이 많이 받는 ´위 소매 절제술´, ´위 우회술´! 두 수술의 차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3. 20.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2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올린 글에 이어 방송에서 했던 인터뷰 포스팅을 이어나가볼까 합니다. 비만 수술에 대한 인터뷰내용에 관한 포스팅, 지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박스를 클릭해주세요.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1 찾아라 특종 건강 백서 3회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3회 소장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 어떤 환자들이 '비만 대사 수술'의 대상자인가? 외과의사에게 찾아온다고 했을때 치료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gshatk.tistory.com 4. 의사들에겐 골칫덩어리! OO 지방이 많으면 마취, 수술이 어렵다?! 배만 볼록 나와 있는 사람들은 피하지방은 별로 없는데, 내장지방이 상당히 많습니다. 내장지방은 내장에 지방이 쌓이는 거기 때문에 모든 장기들이 지방에 가려집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3. 20.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1 찾아라 특종 건강 백서 3회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3회 소장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 어떤 환자들이 '비만 대사 수술'의 대상자인가? 외과의사에게 찾아온다고 했을때 치료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술을 생각하고 많이들 오십니다. 비만 대사 수술 대상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고도 비만 환자 입니다. 이 비만 대사 수술 치료를 받으려면 장기적으로 수술이라는 큰 위험성을 안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제가 집도한 환자의 상당수는 30-50대 초반의 여성분들입니다. 2019년 1월부터 비만대사수술은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비만 대사 수술 환자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이유는? 중년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 분비량은 적어지고, 체내 대사기능은 떨어지면서 그와 반대로 체내 지방은 올라가게 됩니다. 근육도 약해지고, 골다..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3. 20.
  • [doctor W] ABI-IBC 동시 등재 한양대학교병원 외과 하태경 교수가 세계적인 인명기관인 미국의 인명연구소 ABI(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의 ‘21세기 위대한 지성(Great Minds of the 21st Century)’과 영국의 국제인명센터 IBC(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의 ‘21세기 뛰어난 지식인(2000 Outstanding Intellectuals of the 21st Centry)’에 동시 등재됐다. 하태경 교수는 최초침습수술방법인 복강경과 로봇을 이용한 위암의 치료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으며 최근 동물실험을 통해 당뇨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는 등 그간 독창적 인 연구업적을 인정받은 것. 또 하 교수는 2011년판 마르퀴즈 후즈 후(Marquis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3. 14.
  • "진행성 위암환자 생존율 높이기"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남자 2만1344명, 여자 1만293명 등 3만1637명이 위암 진단을 받았다. 이는 같은 해 새로이 암 진단을 받은 모든 환자(21만8017명) 중 14.5%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각종 암 환자 10명 중 약 1.5명이 위암 환자라는 의미다. 위암 발생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선 맵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삼겹살 같은 고지방 육류를 불에 익혀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많다. 우리나라 사람은 탕, 국, 젓갈 등 맵고 짠 음식을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져 있다. 성인의 절반 이상이 위염과 위궤양을 한번 이상 경험했을 정도로 위장병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15.
  • 하태경 교수"고도비만 치료 필수…수술 효과적" [출처] 2013년 2월 18일 보건뉴스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비만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생명을 위협하며, 각종 질병에 쉽게 노출되는 고도비만은 약2배 이상 늘어나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다. 비만 치료에 대한 대책과 치료방법이 절실한 가운데, 한양대학교병원 하태경 교수가 비만환자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에 나서고 있다. 하태경 교수는 비만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고도비만 자체로 생기게 되는 성인병을 고쳐 국민건강지표를 더욱 낮게 하기 위해 한양대병원 ‘고도비만클리닉’을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사성질환·관절염 등 합병증 다발 특히 순전히 ‘살을 빼기 위한’, ‘몸매를 가꾸기 위한’의 수술이 아닌 대사증후군 등의 복합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치료하겠다는 목표가 확실했다. 하 교수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14.
  • “고도 비만, 수술 외에 검증된 치료 없어… 주사제 삭센다도 주의해야” 하태경 한양대병원 외과 교수 인터뷰 2018.11.27 기사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급격히 많이 처방되는 다이어트 자가주사제‘삭센다(Saxenda)’가 고도 비만 환자에게 모두 좋은 것은 아닙니다.” ‘비만 수술 전문가’ 하태경 한양대병원 외과 교수는 ‘삭센다 열풍’에 이같이 우려를 표했다. 삭센다는 덴마크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지난 3월 국내 출시했다. 체질량지수(BMIㆍ단위 ㎏/㎡) 30 이상인 고도 비만 환자나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한 BMI 27 이상 비만 환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허가했다. 하 교수는 “고도 비만(BMI 30 이상) 특히 초고도 비만(BMI 35 이상)은 수술 외에는 약이나 보조제로는 5년 이상 장기적인 체중유지 및 감소효과가 확실히 검증된 바 없다”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14.
  • 故 신해철 위 밴드 수술 관련 S병원 측 "응대 가치 없다" [출처 : 티브이데일리 김지하 기자] 故 신해철의 위밴드 수술과 관련해 S병원 측이 입장을 전했다. 3일 방송된 MBC '리얼스토리 눈'에서는 '누가 마왕의 노래를 멈추게 했나'라는 주제로 신해철의 죽음에 대해 더욱 정밀하게 파고 들어갔다. 신해철은 지난달 17일 서울 송파구 S병원에서 장 협착증 수술을 받은 후 가슴과 복부 통증으로 인해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다 지난달 22일 병실에서 심정지로 쓰러졌다. 심폐소생술을 받고 서울아산병원으로 후송된 신해철은 곧바로 장절제 및 유착박리술을 받았으나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수술 5일 만인 27일 저산소 허혈성 뇌손상으로 생을 마감했다. [티브이데일리 김지하 기자 news@tvdaily.co.kr/사진=MBC 방송화면 캡처] 나머지 기사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