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서울대학교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소아탈장이란?
고환이 음낭으로 타고 내려온 길(여아의 경우에도 이 길이 존재)이 다시 막히지 않아, 장이 이 길을 타고 내려온 상태
정의
태아 초기에 고환(난소)이 태아 뱃속에 위치하고 있다가 체강을 따라 서혜부로 내려오게 되며, 음낭에 자리 잡게 된다. 고환이 내려온 후 고환이 내려온 길은 저절로 막히게 된다. 여아의 경우 고환이 내려오는 것과 같이 서혜부로 내려오나 복강 밖으로 내려가지 않고 대음순으로 향하는 길만 형성되었다가 저절로 막힌다. 일부에서는 이 길이 저절로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있게 되는데 복강 내 장기가 이 길을 따라 내려올 수 있다. 이때 이 열린 길을 통해 장이 내려올 경우 소아 서혜부탈장 이라고 한다.
원인
임신 5-6주에 태아의 고환(난소)이 태아 뱃속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임신 10주에 고환(난소)는 체강을 따라 서혜부로 내려오게 된다. 임신 3개월에 초상돌기(processus vaginalis)가 형성되면서 복막이 내서혜륜(internal ring)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임신 7개월이 되면 고환이 초상돌기를 밀면서 내서혜륜 밑으로 내려와 음낭에 자리 잡게 된다. 고환이 내려온 후 초상돌기는 저절로 막히게 된다. 여아의 경우 고환이 내려오는 것과 같이 서혜부로 내려오나 복강 밖으로 내려오지 않고 초상돌기와 비슷하게 눅크관(canal of Nuck)이 형성되었다가 임신 7개월에 저절로 막히게 된다. 일부에서는 초상돌기나 눅크관이 저절로 막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것이 탈장의 원인이 된다.
증상
서혜부탈장의 증상은 서혜부(사타구니, 샅)가 간헐적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왔다가 들어갔다를 반복하거나, 튀어 나왔다가 외부에서 눌러서 다시 들어가거나, 혹은 감돈(incarceration)되어 덩어리처럼 튀어나온 상태로 들어가지 않는 세 가지 상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경우 평소에는 튀어나온 부분이 없이 지내다가 아이가 울거나 대변을 보고 난 뒤, 즉 복압이 올라갈 때 소장이 서혜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나와서 서혜부가 불룩하게 튀어나왔다가 저절로 호전된다. 이런 경우 대개는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튀어나오지 않은 상태로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외래진료 시 아이의 복압을 높이는 방법은 대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의료진이 서혜부를 촉진하여 비단 끈과 같은 코드의 비대를 촉진하게 되는데 이를 비단징후(silk sign) 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별 무리 없이 튀어나온 장이 제자리로 돌아가지만 빠져 나온 장이 구멍에 걸려 다시 복강 내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감돈탈장이라고 한다. 이 경우 튀어나온 부분이 단단하게 만져지고 주변부 부종이 일어나기도 하며 남아의 경우 음낭이 푸른색을 띄기도 한다. 이때에 장을 빨리 환원시키지 못하면 장에 폐색 및 괴사가 일어나 위험해 질 수 있다. 드물지만 이런 감돈탈장이 일어나면 아이는 구역, 구토, 복부팽만, 변비 등, 장관이 막혔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간혹 어떤 어린이는 서혜부 탈장의 과거력 없이 장관폐쇄로 병원을 방문하기도 한다.
진단/검사
대부분 증상에 대해 경험이 풍부한 소아외과 전문의의 검진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초음파 등의 영상검사를 하기도 한다. 급성으로 서혜부에 튀어나오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 초음파에 의해 감별진단이 도움이 되며 문헌에 따르면 그 정확도는 93%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 외 단순 X선 촬영이나 혈액검사는 진단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나머지 내용의 글은 아래의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아 탈장에 관한 지식
[출처] 서울대학교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소아탈장이란? 고환이 음낭으로 타고 내려온 길(여아의 경우에도 이 길이 존재)이 다시 막히지 않아, 장이 이 길을 타고 내려온 상태...
cafe.naver.com
'GS > 탈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장의 증상 (0) | 2023.03.22 |
---|---|
복벽 탈장에는 로봇수술이 가장 유리하다? (0) | 2023.03.15 |
소아 탈장, 무조건 수술 해야 하나요? (0) | 2023.03.07 |
선천성 횡격막 탈장 (0) | 2023.02.27 |
탈장 수술 후 재발 가능성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