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관하여/일반 건강 상식

(17)
돌발진에 관하여 정의 돌발진은 장미진(roseola)이라고도 불리며 제6형 또는 제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human herpesvirus)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고열과 더불어 약간의 호흡기 증세나 위장관 증세가 동반될 수 있고 열이 내린 후 빨간 장밋빛의 반점 또는 반점 구진 형태의 피부발진이 발생하게 된다. 원인 돌발진은 주로 제6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제6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는 A형과 B형으로 나뉘는데, 제6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인한 돌발진의 99% 이상은 B형과 연관된다. 제6형보다는 드물지만 제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나 제16형 에코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제6형 또는 제7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의 1차 감염은 돌발진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
루게릭 병에 관하여 요약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되는 퇴행성 질환 정의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대뇌 겉질(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줄기(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특징을 보인다. 임상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weakness, 쇠약) 및 위축으로 시작하고,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 마비로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일 년에 10만 명당 약 1~2명에게서 루게릭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게릭병은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2.5배 정도 더 발병률이 높다. 원인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은 아..
파킨슨병이란? 정의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우리 뇌 속에는 여러 가지 신경 전달 물질이 있는데 그 중에서 운동에 꼭 필요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질이라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이러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어 가는 질환으로, 파킨슨 환자들에게서는 서동증(운동 느림), 안정 시 떨림,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파킨슨병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 병에 걸릴 위험은 점점 커지게 됩니다. 발생빈도는 인구 1,000 명 당 1명 내지 2명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60세 이상의 노령층에서는 약 1%, 65세 이상에서는 약 2%정도가 파킨슨병을 앓고 있습니다. 원인 흑질..
대상포진에 관하여 정의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보통은 수일 사이에 피부에 발진과 특징적인 물집 형태의 병변이 나타나고 해당 부위에 통증이 동반된다. 대상포진은 젊은 사람에서는 드물게 나타나고 대개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6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발병한다.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환자 또는 장기이식이나 항암치료를 받아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병적인 증상은 피부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있는 환자에서는 전신에 퍼져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발병위치 : 피부, 신경계 원인 원인 병원체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이다. 이는 어린이가 흔히..
장염과 식중독 안녕하세요, 이제 겨울이 지나가고 점점 날이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날이 점점 따뜻해질수록 주의해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식중독 입니다. 그런의미에서 오늘은 장염과 식중독에 대해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장염 장염은 위장관의 염증을 의미합니다. 장염의 감염성 원인으로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는 50~70%, 세균은 15~20% 정도 차지합니다. 세균성 장염은 심한 복통을 보이고 대변에 잠혈이나 백혈구가 더 자주 나타나는 반면 바이러스성 장염의 주 증상은 수성 설사와 오심, 구토 같은 상복부 증상이 두드러지며 그 외에 복통, 열,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설사는 평소보다 대변이 묽으며 대변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이거나 대변 양이 하루 200g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는데 이러한 ..
쇼그렌 증후군에 대하여 얼마 전 아는 지인분께서 쇼그렌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이란 단어만 들어보더라도 많은 분들께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을텐데요, 오늘은 일반 건강상식 중 쇼그렌 증후군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쇼그렌증후군 얼마 전 아는 지인분께서 쇼그렌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쇼그렌 증후군이란 단어만 들어보더라도 많은 분들께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을텐데요, 오늘은 일반 ... cafe.naver.com 요약 입이 마르고 눈이 건조한 증상이 발생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 진료과 류마티스내과, 소아청소년과, 안과, 이비인후과 에 방문하면 되시겠습니다. 정의 쇼그렌 증후군은 인체 밖으로 액체를 분비하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범하여 침과 눈물 분비가 감소시키고 구강 건조 ..
근력 운동의 원리와 효과 안녕하세요? 요즘 헬스 열풍이 많이 불고 있는 가운데 최근 피지컬 100으로 근력운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한층 더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런 이슈에 맞춰 근력운동의 원리와 효과에 대해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근수축을 이용한 3가지 형태의 근력운동 인체의 움직임은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며, 근력 운동은 이러한 근수축을 이용해서 이뤄진다. 근육의 수축은 크게 다음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1. 등척성 수축 근육의 길이와 관절의 각도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수축으로 벽 밀기, 고정된 물건 들기 동작 등이 이에 포함된다. 2. 등장성 수축 고정된 장력(덤벨, 바벨)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늘어나면서 일어나는 근수축을 의미한다. 등장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
덤핑증후군 정의 덤핑증후군은 위 절제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이다. 덤핑(Dumping) 이란 '대량으로 쏟아 붓는다' 란 뜻을 가진 단어로, 위 아전절제술이나 위 전절제술로 인해 섭취한 다량의 음식물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오심, 구토, 현기증, 발한, 빈맥, 쇄약감, 심계 항진 증상을 말한다. 위–공장문합술에서 주로 나타나고, 위–십이지장문합술에서는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2019년부터는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최근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비만수술 후에도 덤핑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위 절제술 후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3년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 위 수술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아무 증세가 없는 경우도 있으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