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암수술

(3)
위암수술 후 어떻게 식사를 해야하나요? 이전부터 생각하고 있던 가설 중 하나는 암환자는 비만에 의해서 더욱 더 암성장을 촉진시킬거라는 점입니다. 아마도 비만자체로 인해서 수많은 질병이 발생하고 더욱이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등 다양한 암의 위험요소라고 밝혀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암이 발생한 사람은 이후 암을 이겨내기 위해서 식이관리에 많은 신경을 씁니다.그 중 하나는 잘 먹는 것입니다. 특이하게도 위암환자는 위절제술 후 비만해지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유방암과 자궁암 환자는 항암치료를 하는 환자 마져도 비만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인해서 암의 악화를 유발한다고 최근연구결과가 간접적으로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암환자는 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암환자들이 암 치료 전후로 잘먹어야 잘 회복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
"진행성 위암환자 생존율 높이기"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남자 2만1344명, 여자 1만293명 등 3만1637명이 위암 진단을 받았다. 이는 같은 해 새로이 암 진단을 받은 모든 환자(21만8017명) 중 14.5%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각종 암 환자 10명 중 약 1.5명이 위암 환자라는 의미다. 위암 발생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선 맵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삼겹살 같은 고지방 육류를 불에 익혀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많다. 우리나라 사람은 탕, 국, 젓갈 등 맵고 짠 음식을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져 있다. 성인의 절반 이상이 위염과 위궤양을 한번 이상 경험했을 정도로 위장병에..
위암에 대하여 * 저의 블로그에 쓴 글의 내용은 원문의 일부로. 더 자세한 내용은 카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내벽에 발생하는 암종(癌腫). 위의 악성종양(惡性腫瘍) 중에서 약 98%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X선진단과 내시경진단(內視鏡診斷)의 수준향상 및 건강진단의 보급으로 조기발견이 가능해져 해마다 조기암(早期癌)의 발견율이 증가함에 따라 위암 사망률은 낮아지고 있다. 원인으로 자극설·태생설·미아설(迷芽說)·세균설·바이러스설 등 많은 학설이 나왔으나 아직 확정된 학설은 없다. 이들 학설 중 화학적 발암물질에 의한 위암의 발생이 동물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특히 니트로소구아니딘을 사용하여 위암 발생실험을 한 결과 발암률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람의 위암에 대해서는 아질산염도 발암인자로 추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