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태경교수

(10)
[비온뒤]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니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 1위는 위암입니다. 최근 국가암검진의 활성화와 암 질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암 조기 진단율이 80%를 넘어설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1995년 43.9%에 불과했던 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최근 78%까지 증가했는데요.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닙니다.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하태경 교수, 참든든내과 황덕원 원장과 함께 알아보시죠. [비온뒤] 위암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은 아니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 1위는 위암입니다. 최근 국가암검진의 활성화와 암 질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위암 조기 진단율이 80%를 넘어설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cafe.naver.com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230319 방영분) 비만탈출의 비밀 1 찾아라 특종 건강 백서 3회 - 찾아라 특종 건강백서 3회 소장 우회로를 만드는 수술법 어떤 환자들이 '비만 대사 수술'의 대상자인가? 외과의사에게 찾아온다고 했을때 치료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술을 생각하고 많이들 오십니다. 비만 대사 수술 대상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고도 비만 환자 입니다. 이 비만 대사 수술 치료를 받으려면 장기적으로 수술이라는 큰 위험성을 안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제가 집도한 환자의 상당수는 30-50대 초반의 여성분들입니다. 2019년 1월부터 비만대사수술은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비만 대사 수술 환자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이유는? 중년이후 여성은 여성호르몬 분비량은 적어지고, 체내 대사기능은 떨어지면서 그와 반대로 체내 지방은 올라가게 됩니다. 근육도 약해지고, 골다..
복벽 탈장에는 로봇수술이 가장 유리하다? 안녕하세요, 외과 전문의 하태경 교수 입니다. 오늘은 복벽 탈장 로봇수술에 대한 상식을 나누고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비만이 고민이시라구요? 외과 하태경 ... : 네이버 카페 고도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수술 치료법, 위암과 탈장 등 건강과 치료에 대해 자유롭게 공유하는 카페입니다. cafe.naver.com 00:43 로봇 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차이점은? 간단하게 로봇수술은 로봇이 하는 수술, 복강경 수술은 복강경이 하는 수술이라고 간단하게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01:00 로봇 수술의 장단점은? 환자 입장에서 로봇수술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있습니다. 의사 입장에서는 로봇 수술이 복강경 수술을 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고 피로감이나 긴장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단, 경제적으로..
한양대학교병원 매거진에서 한번 꽂히면 성에 찰 때까지 몰두하는 뚝심 연구실에 앉은 그는 사뭇 불편해 보였다. 아니나 다를가 목이 잘 돌아가지 않았다. 의사가 제 병 못 고친다는 옛 속담 그대로였다. 뻣뻣하게 굳은 자라목을 하고도 그는 컴퓨터 모니터를 주시하고 있는 눈의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먼저 시작한 일을 끝내기 전까지는 도저히 다른 일에 손을 대지 않을 타입같아 보였다. "직업병이예요, 매일 컴퓨터나 논문을 들여다보고 있으니까요, 연구 성과를 고질적인 목 디스크와 맞교환한 셈이죠." 하 교수는 주변에도 공부를 많이 하는 의사로 소문 나 있다. 한번 꽂히면 성에 찰 때까지 몰두하는 까닭이다. 비교적 짧은 경력에 남다른 연구 실적을 쌓은 데에는 마음먹으면 무조건 목표를 향해 진격하는 그의 뚝심ㅁ이 자리하고 있다. 그의 컴퓨터 ..
소아 탈장, 무조건 수술 해야 하나요? 아이들의 부모님중 아이들이 소아 탈장을 겪고 있을 경우 병원에 선뜻 가기 어려워질겁니다.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전해드리고 싶은 좋은 내용이 있어 가져와봤습니다. 기사의 원본을 가져와봤습니다. 주부 김모씨(33)는 지난달, 태어난 지 6주 정도 된 아들을 씻기던 중 배꼽 주변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을 발견했다. 걱정되는 마음에 병원을 찾은 김씨는 의사로부터 '소아 탈장'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수술 없이도 자연스럽게 나을거라는 의사의 말에 안심됐지만, 정말 가만히 놔둬도 되는지 의문이 들었다. 소아 탈장은 수술하지 않아도 괜찮은 것일까? ◇수술 필요 없는 배꼽 탈장 배꼽 탈장은 수술 없이도 생후 12개월, 늦게는 만 4세에 저절로 치유돼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 탈장으로 여자아이에게 주로 발생한다. 배꼽..
고도비만 수술이 두려우시다구요? 고도비만으로 치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외래에서 질문하는 것 중 의사의 생각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첫째, 수술에 대한 안정성과 합병증 및 그에 따른 불안감 둘째, 수술 전 수술을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부족 셋째, 수술 후 병원방문에 대한 기피 우선 고도비만수술은 고도비만수술 인증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경우 그 합병증은 담낭수술을 받는 것과 비슷합니다. 고령의 어르신들이 받는 고관절치환술보다 수술의 합병증이 낮습니다. 걱정을 너무 할 필요없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wsl.noom 눔(Noom) - Google Play 앱 세계 1위 식단 관리, 다이어트 앱 - 행동심리학이 만드는 건강한 변화, 습관이 변하면 몸은 따라와요! pla..
탈장 수술 후 재발 가능성 탈장이란? 탈장이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 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신체 어느곳에서나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의 탈장은 복벽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과 근막 사이의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되어 비정상적인 형태를 이루는 상태입니다. 주머니 속에 복강 내 장기가 포함되기도 합니다. 탈장은 생긴 부위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됩니다. 가장 흔한 형태로는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이고, 그 외에 대퇴와 아랫배가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대퇴탈장, 수술 상처부위에 생기는 반흔 탈장, 배꼽 부위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발생하는 제대 탈장 등이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탈장은 재발이 잘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과거 탈장수술을 후벽강화..
"진행성 위암환자 생존율 높이기"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남자 2만1344명, 여자 1만293명 등 3만1637명이 위암 진단을 받았다. 이는 같은 해 새로이 암 진단을 받은 모든 환자(21만8017명) 중 14.5%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각종 암 환자 10명 중 약 1.5명이 위암 환자라는 의미다. 위암 발생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선 맵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삼겹살 같은 고지방 육류를 불에 익혀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많다. 우리나라 사람은 탕, 국, 젓갈 등 맵고 짠 음식을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져 있다. 성인의 절반 이상이 위염과 위궤양을 한번 이상 경험했을 정도로 위장병에..